top of page
  • Writer: 황선웅 (Isaac)
    황선웅 (Isaac)
  • Mar 27, 2024
  • 1 min read

스턴건(stun gun)이라는 별명을 가진 김동현 선수는 UFC에 처음 진출한 한국인 파이터입니다. 코리안 좀비 정찬성 선수 이전에는 한국이 자랑하는 격투기 선수였고, 은퇴 이후에는 왕성한 방송 활동을 하고 있지요. 그런 김동현 선수에게 전국의 초등학생 중학생들이 온라인 상에서 메시지를 보낸다고 합니다. “형, 팬이에요.” “멋있어요!” 이런 메시지가 아니라, 반말로 “김동현 싸움 좀 하냐?” “나랑 계급장 떼고 한 판 붙자.” 이런 내용이라고 합니다. 


ree

공자님도 앎이 무엇인지 묻는 제자에게 유명한 말을 남겼습니다.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바로 앎이다.” 즉, 자기 지식의 한계를 아는 사람이 진정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얼마나 아는가를 자랑하기 바쁜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만, 진정한 앎은 우리가 모르는 게 무엇인지 깨닫는 데서 출발하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주 새신자반에서 이런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데 장애물이 되는 것들 중 하나가 “악의 문제"입니다. ‘하나님께서 진정으로 선하시고 전능하시다면, 지금 우리 세상에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왜 그냥 놔두시는 것일까요?’ ‘애초에 왜 악이라는 것이 이 세상에 들어온 것일까요?’ 등의 질문들이지요. 다만, 우리가 쉽게 범하는 실수 한 가지가 있는데, 그 악의 문제로부터 우리를 분리하는 것입니다. 마치 ‘나는 깨끗하고 거룩한 사람으로, 개관적으로 이 세상의 악을 관찰하고 있다…’ 이런 식의 접근입니다. 우리도 그 악과 한덩어리입니다. 우리도 그 악의 원인이고 결과입니다. 따라서 악의 문제를 해결하는 첫 걸음은 우리가 먼저 은혜 앞으로 나아오는 것입니다. 죄인임을 인정하면서, 하나님 앞에 정직하게 서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변화시키시고, 이 세상을 바꾸는 일꾼으로 사용하실 것입니다. 


지난주 설교에 소개했던 드라마 로망스(2002)의 명대사로 돌아가려고 합니다. “난 선생이고, 넌 학생이야.” 우리 입장에서 이 말을 다시 써 본다면 어떨까요? 글쎄요… “난 학생이고, 그쪽은 선생님이시네요.” 정도 되지 않을까요.

  • Writer: 황선웅 (Isaac)
    황선웅 (Isaac)
  • Mar 27, 2024
  • 2 min read

지난 58차 수퍼볼 결승전을 보면서 마음을 굳혔습니다. 저는 그 날부로 샌프란시스코 49ers 의 팬입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캔사스시티 치프스를 좋아했었습니다. 팀보다 Andy Reid 라는 감독을 좋아했었습니다. 좋은 팀을 만드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막대한 돈을 퍼부어서 어벤져스 같은 팀을 만드는 게 첫 번째 방법입니다. 축구(soccer)를 좋아하는 분들은 맨체스터 시티를 떠올리실 것이고, 야구를 좋아하는 분들은 LA 다저스를 떠올리실 겁니다. 자연히 이런 팀들은 감독이 누구인지 보다 그 팀을 대표하는 선수들이나 구단주를 생각하게 됩니다. 두 번째 방법은 좋은 감독을 데려와서 오랜 시간 그 사람이 팀을 재건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야구에서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가 대표적인 팀이고, 풋볼에서는 치프스가 바로 그런 팀입니다. 앤디 리드 감독은 2013년부터 10년 이상 팀을 이끌면서 완전히 새로운 팀을 만들었습니다. 결국 2020년에 그 노력이 결실해서 수퍼볼을 거머쥐었습니다(1969년 이후 51년만의 우승이었습니다). 그러다가… 뉴잉글랜드 왕조를 이어 치프스 왕조가 시작되었습니다. 2020년, 2023년, 2024년에 연달아 우승했습니다(2021년도에도 수퍼볼에 진출했습니다). 제가 응원했던 감독이었지만 자꾸 나오고 자꾸 이기니까 음… 좀 싫어지더군요. 


ree

그러다가 지난 수퍼볼 게임을 보고 브락 퍼디(Brock Purdy)라는 쿼터백에 완전히 매료되었습니다. 퍼디는 2022년 NFL 드래프트에서 262번째로 선택되었습니다. 네, 그해 드래프트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선택된 선수였고, Mr. Irrelevant (무관련씨)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NFL 무대를 밟은 것은 영광스러운 일이지만, 그가 49ers 에서 실제 경기에 투입될 확률은 극히 적었습니다. 그러다가 2선발 쿼터백이었던 트레이 랜스가 부상을 당하고 1선발 쿼터백이었던 지미 가로폴로 마저 부상을 당한 뒤, 입단한 그해 퍼디에게 기회가 찾아왔습니다. 그리고 그는 특유의 끈기와 노력으로 당당하게 선발 자리를 꿰찼습니다. 2023년 시즌은 주전 선발로 시작했으며 49ers 가 결승 무대를 밟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사실 퍼디에게는 기회가 빨리 찾아온 편입니다. 어쨌든 입단 첫해부터 기회가 생겼으니까요. 럭키한 부분이 없지 않지만, 문제는 기회가 찾아온 뒤에 발생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NFL의 쟁쟁한 선수들 사이에서 쿼터백 역할을 맡으면서 그는 끈기와 노력으로 동료 선수들의 신뢰를 받았다고 합니다. 2024-25 새로운 시즌을 기대합니다. 그리고 우리 삶에도 반드시 기회가 온다는 점을 기억합니다. 지금은 내가 저평가 되어있을지 몰라도, 지금은 기회가 오기만을 기다리는 기간이라 할지라도, 우리가 충실히 쌓는 하루하루가 반드시 제대로 된 평가를 받는 날이 옵니다. Sooner or later 반드시 옵니다. 그 날을 기다리면서 오늘의 충실한 발걸음을 쌓아가길 소망합니다.

  • Writer: 황선웅 (Isaac)
    황선웅 (Isaac)
  • Mar 27, 2024
  • 1 min read

경제는 계속 성장하고 있고, 기술도 끊임없이 진보하고 있습니다. 50년 전과 비교해도, 우리의 삶은 놀라울 정도로 빨라지고, 편해지고, 쉬워졌습니다. 분명 행복감도 증가해야 할 것 같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사회는 발전했지만 오히려 5년 전, 10년 전이 더 행복했던 것처럼 느껴집니다.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이라는 미래학자는 공감의 시대, The Empathic Civilization: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에서 다음과 같은 행복 공식을 제시합니다: 


ree

행복의 양은 자본을 욕망으로 나눈 값입니다. 왜 사회가 발전하고 경제가 아무리 좋아져도 우리의 행복감은 증가하지 않을까요? 소유하는 것(자본)이 늘어나는만큼, 아니 그보다 더 빠르게 우리의 욕망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즉 행복하기 위해 지금 우리가 해야할 일은 소유를 더 늘리는 것이 아니라, 욕망을 절제하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미국의 원조부자로 꼽히는 록펠러에게 어떤 기자가 물었습니다. “How much money is enough?” 어리석은 질문에 록펠러가 현명한 답을 남겼습니다. “Just a little bit more.” 소유를 늘리기 위한 계획보다 우리에게 더 필요한 것은 어쩌면 욕망을 통제하고 줄이기 위한 절제의 훈련인지도 모릅니다. 네, 저도 같은 생각을 했습니다. ‘차라리 돈 몇 푼을 더 버는 게 쉽지 않나?’ 


그래서인지 하나님은 사도바울의 끈질긴 기도를 거절하시면서,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라고 하십니다. “받은 복을 세어보라”는 말씀도 주십니다. 앞으로 더 받을 것만 바라보면서 지금 가진 것에 불평하지 말고, 이미 우리에게 있는 것을 세어보고 감사하라는 말씀입니다. 절제를 통해 기쁨을 누리는 우리가 되길 소망합니다.

@All Rights Reserved. 2023.

bottom of page